2022/03(31)
-
죄송합니다. 오늘 포스팅 쉽니다 2022.03.17
-
우리가 찍은 주홍 글씨와, 예수님이 지우신 주홍 글씨
어릴 적 "주홍글씨"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영화를 보고난 후 한 동안 남아 있는 그 잔상에 사로 잡혔던 기억이 있습니다. 액션물처럼 과격하지도. 애로물처럼 화려하지도 않은 영화였지만 사회를 알아가는 초년생 단계에서 보고 많은 충격을 받았던 영화이자 오래도록 남아 있는 잔상은 잊히지가 않습니다. 오늘날 현대판 주홍글씨를 봅니다. 자신이 실체적 죄인이지만 자신으로 인해 죄인이 된 타인의 죄를 더 부각하며 군중 속에서 "주홍글씨"를 크게 외칩니다. 마치 죄없으신 예수님을 십자가에 매달으라는 군중들처럼,,,,, 자세히 보기 ☞세계에서 유명한 작가로 불리는 10인 주홍글씨 스칼렛 레터라고 하는 이 소설은 1800년대 미국 낭만주의 작가 Nathaniel Hawthorne에 의해 쓰여져 1850년데 출판되었습니다..
2022.03.16 -
기독교인으로 밀양이라는 영화를 다시 느낀다
습관화된 기독교 문화 의식 어려서부터 평생을 기독교인으로 살아온 나는 전통 한국 기독교 문화에서 자랐고 생활하며 살았다 잠시 중학교 때 교회를 벗어난 적은 있지만, 그 외에는 교회문화권 생활을 벗어나 보지 않고 살았던 것 같다 언제 어디서든지 무엇을 하든지 기독교인 삶의 틀 안에서 생각했고, 행동했고, 사회생활을 했었다 새벽기도를 다녔고 십일조를 내고, 주일성수를 하고, 교사대학을 이수하고, 주일학교 교사와 찬양대로 교회 봉사를 하고, 불우한 사람은 도와야 한다는 의무감 같은 마음도 갖고 살았다, 자세히 보기 ☞ 내 눈에 담은 풍경을 소개합니다 몽학 선생의 지도를 따라 아무리 화가나도 함부로 나쁜 말을 안 하기 위해 노력했고 스스로 거룩한 자가 되려는 듯하고 살았던 것 같다. 이것은 지금까지도 몸에 밴 ..
2022.03.15 -
때를 잊은 함박눈이 너무 야속해
자연이 맞추어 가는 때라는 것은 신기하리만큼 정확한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그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오신 우리네 어른들은 그에 맞게 이름도 참 잘 지었습니다. "꽃샘추위" 3월이 되니 화단에 수선화가 꽃 몽우리를 보이며 어느 햇볕 좋은 날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겨울 내내 어딘지 모르게 앙상하게 죽어있던 가지에도 생기의 빚을 비추는 듯했고 텃밭에 심어둔 마늘이 싹이 생기가 오르며 살짝 자란 듯했습니다. 자세히 보기 ☞ 4월의 눈이 건네는 마지막 인사 부추를 생각하며 몇일이 지나면 양지쪽 부추를 먹을 수 있겠다 싶어 입맛 다시며 기대하고 있는데 어제 토요일 거친 겨울바람과 함께 온종일 함박 눈이 내렸습니다. 오늘까지도 사나운 겨울바람과 강 추위에 바깥 나드리가 힘겨울 정도입니다. 얼굴 감추인 수선화 꽃몽우리..
2022.03.14 -
주인을 잃은 수백장의 악보도 함께 날아갔다
우리네 어머니들의 삶을 돌아보면 하나같이 소설이 아닌 것이 없는 것 같습니다. 어머니까지는 아니더라도 한 여성의 굴곡진 삶을 돌아보며 그녀의 어머니 삶 마저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우리네 어른들은 왜 그렇게 했는지,, 무지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은 인생이 그 길을 갔고 삶의 방식이라고 하기에는 불행한 삶에 대한 무책임인 것 같습니다. 자세히 보기 ☞세상에서 IQ가 가장 높은 사람과 점수는? 부잣집의 막내딸 한국의 명문 E 여대에서 작곡을 전공했던 그녀는 아주 큰 부잣집 막내딸이었습니다. 큰 부자인 아버지는 아들만 셋을 두고 떠난 전처를 대신해 나이 어린 처녀를 후처로 들였습니다. 어린 나이지만 어머니는 전처가 남기고 간, 자신과 비슷한 나이 또래의 아들들을 돌보며 막내딸을 낳았고 나이 많은 아버지는 늦게..
2022.03.13 -
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 대선 결과에 대한 평가
전에 없이 살벌햇던 한국의 대선이 끝이 났습니다. 일부에서는 환호성과 함께 축제가 벌어졌고 일부에서는 좌절감에 침울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국가 새로운 리더가 뽑혔으니 이제부터는 여러 가지가 바뀔 것입니다. 그동안 현 체제에 대한 불만이 정권교체 요구로 나타난 결과이니 만큼 당연할 것입니다. 무엇이 어떻게 바뀔 것이며 결과는 얼마나 만족하게 될지,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날 것입니다. 현 한국의 대선 결과에 대해 외부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으며 바라는 것은 무엇인지 한 메거진에 올라온 글을 소개해 봅니다. 몇 개의 메거진을 보았으나 다 비슷한 견해들입니다. 자세히 보기 ☞세계사를 바꾼 중요 혁명과 한국의 혁명 메거진에 올라온 한국 대선 결과에 대해 한국의 유권자들은 1%미만의 격차로 야당인 민중당(국민의힘)의 ..
2022.03.12 -
죄송합니다. 오늘 포스팅 쉽니다 202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