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 우주 정거장이 몇개나 있을까?

2021. 2. 24. 19:50지식인/과학,우주

우주 정거이란 우주공간에 인간이 만들어 띄워둔 우주선으로 쉼 없이 지구 공간에 떠 다니는 사람이 만든 대형 우주선을 말합니다. 또 다른 이름으로는 지구를 도는 궤도 관측소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중에 작은  우주 정거장은 조립되어 우주 궤도로  보내 졌고. 큰 우주 정거장은 모듈로 우주로 보내져 그곳에서 조립되었습니다.

우주정거장의 용도는  인간의 거주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지원할 수 있고 공간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우주 정거장에 거주하는 과학자와 우주 비행사는 과학 실험, 유지 관리, 우주 유영, 소셜 미디어 업데이트, 운동 및 개인 관리와 같은 활동을 하며 우주정거장에서의 일상을 지냅니다.

Skylab, Mir, Salyut 1-7, Tiangong 1 & 2, Cosmos 557, Destiny 및 Quest와 같은 많은 우리 허공처럼 넓기만 한 우주공간에는 많은 우주정거장이 보내졌습니다.  그중 일부는 실패해서 쓰레기로 우주공간을 떠 다니고 있기도 하지만 성공한 우주 정거장은 오늘도 지구 궤도를 돌며 현재, 국제 우주 정거장 (ISS).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화성까지 도착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자세히 보기     화성에 100만명 거주 도시 세우다

 

우주의 궤도 관측소

ISS (국제 우주 정거장)는 사람이 거주가 가능한 낮은 궤도(LEO)에 있는 위성 또는 우주 정거장입니다. 1998~ 2011 년 사이에 활기차게 보내진 우주정거장은 인간이 만든 단일 구조물로써는 가장 큰 구조물입니다

 

ISS에서 장기 거주를 하는 사람들 2000 년 11 월에 도착한. 18 개국  236 명이었습니다.  2019 미국은  1백43명,  러시아 46, 일본 8, 캐나다 7, 및 이탈리아5 명과 함께 보냈고. ISS를 이루고 있는 구조물은  태양 광 어레이, 로봇 팔, 실험 구역, 도킹 포트, 라디에이터, 구조 트러스 및 가압 주거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제 우주 정거장은 지구에서 육안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ISS를 육안으로 보기

지구에서 ISS 즉 우주정거장을 확인하려면 하얀 점으로 보이면서 한 방향으로 느리게 움직이는 그리고 빠르게 하늘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흰색 점입니다. 

물론 어두울때  일출 직전과 일몰 후에 육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쉽지 않지만 낮에도 볼 수 있습니다.

ISS는 지구에서 약 250 마일의 일정한 거리를 빠르게 이동합니다.  ISS는 하루에 지구 주위를 15.5 회 공전합니다. 금성보다 16배가 밝다는 IS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구조물로 빛이 많은 도심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 

 

ISS가 당신의 주변을 통과할 때 알려주는 다양한 도구와 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관측자의 위도나 경도와 궤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주 정거장이 볼 수 있는 시기도  나타냅니다. NASA는 2012 년에 ISS가 마을을 지날 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 적도 있었습니다

ISS는 지구 상에 95% 사람의 거주 지역에서는 볼 수 있지만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볼 수가 없습니다.

 

ISS의 소유권

국제 우주 정거장은 캐나다, 러시아, 유럽 , 일본 및 미국 간의 공동 프로젝트입니다. 그러므로  ISS의 사용 및 소유권은  합의나 조약에 의해 설정됩니다. 

우주 정거장은 여러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USOS (US Orbital Segment)와 ROS (Russian Orbital Segment)의 두 섹션이 있습니다.  러시아는 계속해서 또 다른 우주정거장을 띄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   국제 우주 정거장, 우주인들의 생활

자세히 보기  ☞    공중 엘리베이터, 쫒겨나는 블랙홀

자세히 보기     '지구종말의 날 시계’(The Doomsday Clock)가 종말 100초전

자세히 보기  ☞    달 여행이 눈앞에, 산소 공장 세워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도움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댓글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고민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