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타카마 사막의 신비한 미이라가 논란이 된 이유

2022. 12. 14. 11:48세상만사/사회

아타카마 해골

 

 

인간은 언제나 미지의 무엇인가를 탐험하기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것을 만나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흥분하며 관찰하고 추측을 내놓습니다. 

경험해 보지 못한 것이나 이전에 보지 못햇던 것에 큰 관심을 보이는 건 아마도 자신이 알지 못하는 어떤 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은 아닌지 생각하게 합니다.

 

 

 

작은 미이라

 

 

2003년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서 인간의 것으로 보이는 작은 미라가 발견되었습니다. 전신 길이가 겨우 6인치에 불과한데 상대적으로 큰 해골에 머리 정수리는 뾰쪽하고 골격은 공룡 이빨처럼 딱딱하게 굳어져 있었습니다.

눈구멍은 크면서도 끝이 길게 위로 올라가 있었고 12쌍의 갈비뼈를 가진 사람의 골격과 달리 10개의 쌍 갈비뼈만 있었습니다.  

이 미라가 발견된 후 세계에서는 UFO와 외계인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고 학계의 비상한 관심 속에 몇몇 학자들이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얼마 후 뉴욕의 Genome Research에서는 골격에서 골수를 채취해 DNA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이 작은 유골은 인간의 것으로 어린이 소녀였으며 유전적 돌연변이로 뼈에 대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전적 뼈 변이

 

 

한 아마추어 수집가는 칠레 북부의 아타카마 사막에서 작은 외계인 미라를 발견했다고 소문을 퍼뜨립니다. 

작은 가죽 주머니 속 하얀 천을 발견한 그는 쌓인 주머니를 풀자 약 6인지 정도의 해골을 발견했습니다.   

크기는 작지만 완벽한 형태의 유골을 발견한 그는 인간과는 다른 모양의 유골 형태를 보고 외계인의 것이라 믿었습니다.  


관심 있는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어린 여자아이 유골로 밝혀졌고 DNA를 통해 그 지역 주민에 속한다는 사실도 밝혀냈으며 그녀는 또한 상당한 양의 유럽인  DNA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연구원들은 그녀의 DNA에서 뼈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 그룹을 확인했습니다.
이전에는 이러한 유전적 뼈 결함에 대한 기록이 없어서 인간에 나타난 결과를 알 수 없었지만 현대의학은 이러한 돌연변이 중 일부는 골격을 기괴한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유전적 장애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측정 연대 

 

스탠퍼드 대학 면역연구 교수와 유전성 뼈 질환 전문가는 유골의 소유자의 허락을 받아 갈비뼈와 오른쪽 상완골에서 골수 샘플을 채취하고 X-레이를 통해 유골의 이미지를 찍었습니다. 

유골이 태아의 크기에 불과하지만 뼈 골격은 사망 당시 추정 뼈 나이가 6~8세인 사람이었습니다 


Stanford University의 유전성 뼈 질환 전문가인 Ralph S. Lachman은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그녀의 질병은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것과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한 번도 보지 못한 장애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는 추론과 함께   

그녀의 작은 키와 비정상적인 몸의 비율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왜소증이나 척추측만증과 같이 주로 인간의 성장과 관련된 유전적 돌연변이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합니다. 


과학자들은 또한 골격의 정확한 연대를 칠레가 유럽의 식민지화된 이후쯤으로 약 1500년대로 추론하며  그녀의 유골이 사막에서 약 500년에 걸쳐 더욱 작아졌을 것이라 말합니다

 

학계와 관련 단체에서는 인간의 존엄성과 윤리적 차원에서 이 작은 여자아이 유골을 고향인 칠레로 반환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합니다.

 

한마디 

 

어쩌다 평범하지 않은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나서  살아서도 죽어서도 평범하지 않게 되었는지,

왜 시신을 가죽 주머니에 넣어서 사막에다 두었는지,

비범한 모습으로 인해 괴물취급받아 억지로 죽임을 당한 것은 아닌지,

그록이 없으니 안타까운 마음에 여러 생각들이 머리를 체웁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댓글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고민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